공동현상 (cavitation)
- 펌프의 내부에서 유속이 급변하거나, 유체의 압력이 낮아져 용존되어있던 기체가 분리되어 기포가 되어, 내부에서 공동이 생기는 현상
- 펌프 성능을 현저히 저하시키고, 회전차의 침식, 소음 유발, 수명 저하의 문제가 있음
- 방지 대책 : 흡입관 손실 낮게 / 펌프 회전 속도 낮게 / 펌프 위치 낮게
수격작용 (water hammer)
- 관 내에 흐르고 있는 물의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여 압력이 변하는 현상
- 진동, 소음을 유발하고, 펌프가 역회전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음
- 정회전 정류 → 정회전 역류 → 역회전 역류
- 방지 대책 : 펌프에 플라이휠 붙임 / 관 내 유속 낯추기 / 토출관 쪽에 수조 설치
기타 펌프 장애 현상
- 서징(surging) : 펌프 운전 중, 토출량과 토출압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상태
- 맥동현상 : 송출 유량과 송출 압력 사이에 주기적인 변동이 발생해 토출 유량의 변화가 생기는 현상
기출문제 모음
- 펌프의 운전 시 발생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?
① 공동현상
② 수격작용 (수충작용)
③ 노크현상
④ 맥동현상
정답 : 3
- 펌프의 캐비테이션(공동현상)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은 것은?
①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높게 하여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.
②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.
③ 펌프의 회전속도를 높게 선정하여 필요유효흡입수두를 작게 한다.
④ 흡입 측 밸브를 완전히 폐쇄하고 펌프를 운전한다.
정답 : 2
- 공동현상(Cavitaiton)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?
①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.
②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크게 한다.
③ 펌프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춘다.
④ 펌프의 회전속도를 낮게 선정한다.
정답 : 2
- 펌프의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첵으로 잘못된 것은?
①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낮추어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.
②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작게 하여 가용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.
③ 펌프의 회전속도를 높게 선정하여 필요유효흡입수두를 크게 한다.
④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.
정답 : 3
- 펌프의 수격작용(water hammer)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 관내 물의 속도가 급격히 변하여 수압의 심한 변화를 야기하는 현상이다.
② 정전 등의 사고에 의하여 운전 중인 펌프가 갑자기 구동력을 소실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.
③ 펌프계에서의 수격현상은 역회전 역류, 정회전 역류, 정회전 정류의 단계로 진행된다.
④ 펌프가 급정지할 때는 수격작용 유무를 점검해야 한다.
정답 : 3
- 수격작용을 방지 또는 줄이는 방법이라 할 수 없는 것은?
① 펌프에 플라이휠을 붙여 펌프의 관성을 증가시킨다.
② 흡입측 관로에 압력조절수조를 설치하여 부압을 유지시킨다.
③ 펌프 토출구 부근에 공기탱크를 두거나 부압 발생지점에 흡기밸브를 설치하여 압력 강하시 공기를 넣어준다.
④ 관내유속을 낮추거나 관거 상황을 변경한다.
정답 : 2
- 펌프의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?
① 펌프에 플라이휠을 제거하는 방법
② 토출관쪽에 조압수조를 설치하는 방법
③ 펌프 토출측에 완폐체크밸브를 설치하는 방법
④ 관내 유속을 낮추거나 관로상황을 변경하는 방법
정답 : 1
기타 펌프 관련 기출문제
- 양정변화에 대하여 수량의 변동이 적고 또 수량변동에 대하여 동력의 변화도 적으므로 우수용 펌프 등 수위변동이 큰 곳에 적합한 펌프는?
① 원심펌프
② 사류펌프
③ 축류펌프
④ 스크류펌프
정답 : 2
- 펌프의 형식 중 베인의 양력작용에 의하여 임펠러내의 물에 압력 및 속도에너지를 주고 가이드베인으로 속도에너지의 일부를 압력으로 변환하여 양수작용을 하는 펌프는?
① 원심펌프
② 축류펌프
③ 사류펌프
④ 플랜지 펌프
정답 : 2
- 케이싱 내에서 임펠러를 회전시켜 유체를 이송하는 터보형 펌프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회전펌프
② 원심펌프
③ 사류펌프
④ 축류펌프
정답 : 1
- 하수 펌프장 시설인 스크류펌프(screw pump)의 일반적인 장,단점으로 틀린 것은?
① 회전수가 낮기 때문에 마모가 적다.
② 수중의 협잡물이 물과 함께 떠올라 폐쇄 가능성이 크다.
③ 기동에 필요한 물채움장치나 밸브 등 부대시설이 없어 자동운전이 쉽다.
④ 토출측의 수로를 압력관으로 할 수 없다.
정답 : 2
- 펌프를 선정할 때 고려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?
① 펌프를 최대효율점 부근에서 운전하도록 용량 및 대수를 결정한다.
② 펌프의 설치대수는 유지관리상 가능한 적게하고 동일용량의 것으로 한다.
③ 펌프는 저용량일수록 효율이 높으므로 가능한 저용량으로 한다.
④ 내부에서 막힘이 없고, 부식 및 마모가 적어야 한다.
정답 : 3
- 펌프의 흡입(하수)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흡입관은 각 펌프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다.
② 흡입관을 수평으로 부설하는 것은 피한다.
③ 횡축펌프의 토출관 끝은 마중물을 고려하여 수중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.
④ 연결부나 기타 부근에서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.
정답 : 2